신한라이프 실손보험 자동갱신 통보받았을 때 꼭 확인할 점
신한라이프 실손보험 자동갱신 통보받았을 때 꼭 확인할 점
최근 신한라이프 카톡으로 알림을 받았어요. 실손보험 자동갱신 안내에 대한 내용이었고요.
근데 달랐던 것은 보혐료가 만원 이상 상승 했다는 내용이었고요. 왜 보험료가 또 올랐을까? 이 부분이 궁금해지더라고요.
자동갱신이 될때 보험료가 오른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제 경우에는 왜 올랐는지 그 이유는 나와있지 않아서 궁금했어요.
혹시 신한라이프 실손보험 갱신 안내서를 저처럼 받은 분, 예상치 못한 보험료 인상에 당황하셨다면 도움이 되시면 좋겠어요.
1. 실손보험 자동갱신이란?
실손보험은 보통 비갱신형은 거의 없고 대부분이 갱신형으로 되어있다고 알고 있어요. 그래서 이 갱신이 될때 금액이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가입을 하게 되기도 하고요.
저도 갱신때 보험금이 오를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이번엔 만원 이상 올라서 금액이 왜 이렇게 많이 갑자기 올랐지? 하는 궁금증이 들더라고요.
신한라이프 실손보험의 경우 - 보통 1년 - 3년의 일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갱신이 되고 갱신 시점에 따라서 보험료가 인상이 될 수 있어요.
이건 신한보험이 아닌 다른 실손보험들도 그렇다고 하고요.
2. 실손의료보험 자동갱신 시 보험료 인상이 되는 3가지 이유
1. 전체 가입자 손해율이 상승했을때
2. 연령 상승이 있었을때
3. 의료이용이 증가 했을때
이 정도 이유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그럼 각각의 이유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볼게요.
1. 전체 가입자 손해율이 상승했을 때
실손보험이라면 공동부담하는 원리가 적용되는 거죠. 그래서 내가 병원을 많이 이용한 것이 아니라 타인이 병원을 많이 가서 다른 가입자들의 병원 이용이 많아져도 보험료가 같이 올라갈 수 있어요.
나는 병원에 많이 안갔는데? 그렇다고 해도 보험료가 오를 수 있다는 점.
2. 연령 상승이 있었을 때
나이가 들면 들수록 병, 질병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가겠죠. 그럼 병원이용도 많아지고요.
30대-40대- 50대 이렇게 올라가게 되면 보험료가 계단식으로 점프하는 느낌도 들 수 있어요. 보험사 입장에서는 손해율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보험료 인상을 할 수 있고요.
3. 의료 이용이 증가했을 때
내가 의료이용을 많이 했는지도 알아봐야 해요. 실손보험을 많이 청구하게 되면 그에 따른 보험료 인상이 있을 수도 있고요. 다른 사람들의 청구가 많아졌을 때도 내 보험료에도 상승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
나만 오른 것이 아니라 갱신 시점에 보험사에서 보험료를 일괄 인상 할 수도 있다고 해요.
그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신한라이프 실손 갱신 시 체크리스트>
1. 매년 갱신 안내서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2. 불필요한 진료나 청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3. 내 실손 담보 구조를 체크해봐야 합니다. (특약이 포함되어 있는지)
4. 필요하다면 비갱신형 상품으로 전환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어요
5. 보험료 저렴한 상품이 또 있는지 비교해보는 것도 좋아요.
6. 보장내역, 납입기간, 만기, 해지환급금이 있는지 꼼꼼하게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7. 보험료 절약 노하우가 어떤 것이 있는지 검색해서 알아봐야 해요.
3.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의 차이점은?
1 .갱신형 보험이란?
이름처럼 보험료가 주기적으로 재조정되고, 1년, 3년 마다 일정주기로 갱신이 되는 구조입니다.
장점
1. 초기 보험료가 저렴해요.
2. 젊은 나이에 가입하면 부담이 적게 시작할 수 있어요.
3. 비교적 다양한 특약을 선택할 수 있어요.
단점
1. 갱신 때마다 보험료 인상 가능성이 있어요.
2. 나이가 들수록 보험료가 많이 올라서 부담이 될 수 있어요.
3. 계속 유지할 경우 총 납입한 금액이 비갱신형보다 높을 수 있어요.
2. 비갱신형 보험이란?
내가 처음에 보험을 가입할 때 정한 보험료를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하는 구조입니다.
장점
1. 보험료가 오르지 않아요.
2. 장기적으로 보면 총 납입액이 예측이 가능합니다. (일정금액 * 납입기간)
3. 오를 걱정 없이 마음 편하게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어요.
단점
1. 처음에 정하는 보험료가 높아요. (초반에 이 부분이 부담될 수 있어요)
2. 어떤 보장은 갱신형에만 가능한 경우가 있어요.
3. 중도 해지를 하게 되면 손해가 클 수 있어요.
내가 어떻게 보험료를 내는 것이 더 좋은지 잘 판단하고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면,
갱신형 - 단기적으로 비용이 부담스러울때
비갱신형 - 장기적으로 안정성과 예측이 가능한 것을 원할때
보통, 실손보험은 대부분 갱신형만 가능하게 되어있어서 선택하기가 좀 아쉬운 것도 있고요.
그래도 제 경우에는 실손보험이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병원에 다녀오면 잊지 않고 청구해서 잘 받으며 이용하고 있어요.
나이가 들 수록 보험료가 갱신시 더 많이 오르는 것도 있겠지만, 그래도 내가 혜택을 받고 청구해서 지급받는 금액이 도움이 된다면 유지하는 것이 아주 좋다는 생각입니다.
실손보험의 경우 어느 보험사를 이용하든, 병원에 다녀와서 꼭꼭 청구를 하지 않는다면 그냥쉽게 지나치고 받을 수 있는 것도 못받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거든요.
적은 금액이라 그냥 귀찮아서 넘어가는 경우도 있고요.
하지만 그러지 말고 내가 받을 수 있는 것은 꼼꼼하게 잘 챙겨서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