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이미니니입니다.
저는 네이버 블로그 와 티스토리 블로그 두가지를 다 운영하고 있어요.
그리고 네이버 블로그는 애드포스트 광고수입이 있고 티스토리 블로그는 애드센스 수입이 있죠.
두가지 모두 그렇게 많은 수입은 아니지만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수입이 있기에 재미있게 블로그 생활을 하고 있어요.
오늘 네이버 애드포스트 정산을 받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얘기를 좀 해보려고 해요.
네이버 블로그 애드포스트 정산 - 제세공과금
네이버 애드포스트에서 수입이 성공적으로 지급되었다는 메일을 받았어요.
즐거운 마음으로 열어보니 소소한 수입이 그래도 적립이 되어서 매달 5만원 이상 입금이 이렇게 되더라고요.
정산이 되는것은 좋으나!
블로그에 쏟는 정성 (? ) 노력에 비해서는 정말 소소한 금액이라 기운이 빠질 때도 솔직히 있어요.
저는 인플루언서는 아니기에 그래도 네이버 블로그에서 나오는 작은 애드포스트 수입이 그래도 블로그를 운영하는 원동력이 되어줄 때가 있긴 하거든요.
이웃들과의 소통도 처음에는 많이 했었는데 그것도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더라고요.
그냥 내 얘기를 하다가 조금씩 한가지 주제로 정착했고 그렇게 쓰다보니 인플루언서 욕심이 나기도 했어요.
매달 탈락 되는 메일을 받다보니 기운도 빠졌고요.
이젠 그마저도 매달 신청도 불가능하죠.
3달에 한번씩 신청을 하는 거라면 일년에 4번 신청이 가능하단 얘긴데 벌써 2번이나 떨어졌고요.
많이 기운이 빠집니다.
그래도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은 소소하게라도 입금이 되는 수입이 있다는 것과 체험단 활동을 할 수 있고 여행이 주제다 보니 다녀온 내용들을 정리해서 기록한다는 재미가 있어서예요.
1.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입지급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입지급내역의 상세내용은 50566원입니다.
지급일은 6월 25일
매달 25일을 전후로 입금이 되는 거로 알고 있어요.
저는 5만원 이상이면 자동 지급이 되도록 설정을 해놓았어요. 그리고 이번에 지급을 받아서 확인하려고 은행계좌를 열어보고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되었다는 금액과 달라서요.
예전에도 그렇게 느꼈던 적이 있었는데 이후로는 그래도 매달 입금이 되지만 소소한 금액이라서 맞겠지 뭐 하고 확인을 하지 않았었거든요.
이번엔 확인을 했는데 차이가 나서 왜 그런지 한번 알아봤어요.
2. 애드포스트 정산 금액 차이 이유는?
보면 지급되었다고 나온 금액 = 50566원
실제 정산 입금된 금액 = 46117원
차액 = 4449원
이렇게 차액이 발생합니다.
이금액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위에 정산되었다고 온 메일에서 그 답을 알 수 있어요.
상기 지급 금액은 제세공과금 공제 전 금액이며, 연간 지급 금액이 12만 5,000원을 초과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소득세 및 주민세 원천징수 후 잔여금액이 지급되었습니다.
이렇게 나와있죠.
3. 제세공과금이란?
제세금과 공과금을 합쳐서 부르는 용어입니다.
국세나 지방세처럼 국가나 공공단체가 개인이나 법인에 부과하는 제세금 그리고 국민이나 공공단체의 구성원에게 강제로 부과하는 공적부담금 즉 공과금으로 정의하고 있어요.
개인회원
연간 지급 금액은 한 해 동안 지급된 금액의 총합으로 매년 갱신됩니다.
(연간 지급 금액 : 잔액 차감 액 기준, 정기 지급 및 네이버페이 전환 포함)
과세 기준 관련 법령에 따라 개인회원의 연간 지급 금액이 125,000원을 초과하면 원천징수 대상자가 됩니다.
제세공과금으로 그 해 모든 지급 금액의 8.8% (소득세 8%, 주민세 0.8%) 공제가 필요합니다.
연간 지급 금액이 125,000원을 초과하는 시점 (연1회)에 1원부터 모든 지급액의 세금을 소급 징수합니다.
소급 징수 이후에는 그달에 받는 금액의 세금만 제외한 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은 수입 지금 시 자동으로 정산됩니다.)
만약 연간 지급 금액이 125,000원 이하면 제세공과금이 면제됩니다.
애드포스트 연간 지급 금액이 125,000원을 초과한 경우 세금 공제와 세금 신고를 합니다.
단, 애드포스트 수입이 125,000원을 초과하지 앟아도 별도 기타소득이 발생한다면 세금 신고 대상자가 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으로 문의 바랍니다.
이렇게 보면!
제세공과금 8.8%를 제한 금액이 입금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50566*8.8% = 4449.808 이렇게 계산이 되어서!
4449원을 제외한 46117원이 입금된 것이었어요.
애드포스트 정산은 100원이상이면 신청이 가능하고 내가 신청한 금액이 연간 합산해보았을때 125,000원이 되지 않을때는 모두 입금이 되지만 이렇게 정산금액과 입금액이 다르다면 제세공과금이 빠진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럼 연간 합 금액이 125,000원을 넘어서 좋은 건가? 라고 볼 수도 있지만 매달 8.8%의 금액이 빠진다는 것은 또 아깝기도 해요.
다달이 50만-100만원 까지 애드포스트 수익을 올리는 분들이라면! 모르겠지만 정말 뗄게 뭐가 있다고 거기서 또 떼! 라고 할 수 있는 금액일때는 너무 아깝거든요.
금액이 달라서 이건 뭐지? 하실때는 한번 살펴보세요.
다음 이어지는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드센스 와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입의 비교를 해보도록 할게요.
구글 애드포스트
구글 애드센스 네이버 애드포스트
저는 이 두가지를 모두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두 블로그의 장단점을 모두 비교가 가능합니다.
사실 수익적인 면에서는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훨씬 좋아요.
그래서 이렇게 티스토리 운영도 꾸준히 하고 있는것이고요.
그 기록을 한번 해보도록 할게요.
'블로그 운영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 누락 맛집 글 작성 누락 문제 (17) | 2024.09.26 |
---|---|
카카오 애드핏 kakaoAdFit 지급요청 (3) | 2024.08.21 |
티스토리 블로그 저품질 확인 탈출후기 다음 고객센터 문의하기 (5) | 2024.07.15 |
링블 체험단 블로그 체험단 이용후기 (4) | 2024.07.01 |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정산 카카오뱅크 수수료 얼마일까 (4) | 2024.06.28 |
댓글